코인과 토큰 차이: 발행 방식·용도·기술 구조 비교

암호화폐를 처음 접하면 ‘코인’과 ‘토큰’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둘 다 디지털 자산으로 거래되고 투자 대상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기술적 구조와 발행 방식, 사용 목적에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코인과 토큰의 정의부터 핵심적인 차이점, 그리고 투자와 실사용에서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를 상세히 비교해 설명합니다.

암호화폐
암호화폐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발행 방식 비교 (발행방식)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블록체인 독립 여부’입니다.

- 코인(Coin)자체 블록체인을 보유한 암호화폐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라이트코인(Litecoin)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고유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운영됩니다.
- 토큰(Token)기존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생성된 암호화폐입니다. 예를 들어, 유니스왑(UNI), 체인링크(LINK), 샌드박스(SAND) 등은 모두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발행된 ERC-20 토큰입니다.

즉, 코인은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자체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자산이며, 토큰은 그 위에 올라탄 '앱 수준'의 자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토큰을 만들기 위해선 새 블록체인을 개발할 필요 없이, 이더리움이나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면 됩니다. 이로 인해 토큰은 개발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들며, 누구나 쉽게 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보안이나 확장성 면에서는 플랫폼에 의존하게 됩니다.

어디에 쓰이는가? 사용 목적 차이 (용도)

코인과 토큰은 사용 목적에서도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 코인은 주로 결제 수단 또는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더리움은 네트워크 내에서 수수료(Gas Fee)를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 토큰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내에서 기능성 자산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 거버넌스 토큰: 프로젝트 운영 방침을 투표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 (ex. UNI, AAVE)
- 유틸리티 토큰: 서비스 사용권, 접근 권한 제공 (ex. BAT – 브레이브 브라우저)
- 보상 토큰: 활동에 대한 리워드 제공 (ex. 스테픈의 GMT, M2E 플랫폼 등)
- NFT와 연동된 토큰: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증명

즉, 코인은 네트워크 레벨에서 작동하는 화폐이고, 토큰은 앱/서비스 레벨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입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면 어떤 자산이 실제 서비스와 연결돼 있는지, 장기적으로 생태계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떤 기술 구조로 작동하나? (기술)

기술적인 면에서도 코인과 토큰은 구조적으로 구분됩니다.

- 코인은 독자적인 프로토콜, 합의 알고리즘, 블록 생성 방식 등을 포함한 자체적인 기술 스택을 기반으로 개발됩니다. 비트코인의 SHA-256, 이더리움의 PoS, 라이트코인의 Scrypt 등 각자 고유의 기술적 특성을 갖습니다.

- 토큰은 기존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하여 생성됩니다. 대표적인 예가 ERC-20, ERC-721, BEP-20 같은 토큰 표준입니다. 이 표준들은 토큰이 어떤 형식으로 거래되고 저장되며, 어떤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 ERC-20: 일반적인 유틸리티 토큰
- ERC-721: NFT(Non-Fungible Token)
- ERC-1155: 다중 자산 토큰

토큰은 해당 표준을 따르기만 하면 특정 지갑, 거래소, DApp에서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플랫폼의 수수료(Gas Fee), 네트워크 혼잡 등의 한계도 함께 안고 갑니다.

또한, 보안 측면에서도 코인은 노드 수준에서 보안이 유지되지만, 토큰은 스마트 계약 보안에 따라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감사(Audit)를 거친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인과 토큰은 겉보기엔 비슷해 보여도, 블록체인 기반, 발행 방식, 기술 구조, 활용성까지 전혀 다른 디지털 자산입니다. 투자를 고려할 때 단순히 ‘오르는 코인’이 아니라, 그 자산이 어떤 기술에 기반하고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파악해야 리스크를 줄이고, 가치 있는 프로젝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메타플래닛 비트코인 '프리미엄', 그 배경과 영향 분석

게임스탑의 비트코인 매입, 미래의 포석인가?

비트코인 상승의 원인은 일본 채권시장 혼란일까?